Phpmyadmin /php/Twig/Extension/CoreExtension.php#1608 에러 해결 방법

Phpmyadmin을 이용하여 DB 작업을 할 때, CoreExtension.php #1608 라인에 에러가 있을 수가 있다. 물론 에러를 무시하고 작업해도 상관은 없지만,

무언가 거슬리고 찝찝한 느낌이 드는 것을 치울 수가 없다.

Deprecation Notice in ./../../php/Twig/Extension/CoreExtension.php#1608 array_key_exists(): Using array_key_exists() on objects is deprecated. Use isset() or property_exists() instead

상기한 경로의 파일의 1608 라인에 array_key_exists() 라는 함수 대신 property_exists() 함수를 사용하라는 말이다.

다음과 같이 바꿔주면 된다.

if (isset($object->$item) || property_exists($object, (string) $item)) {

위 오류는 최근 깃허브 자료를 보니 수정된 것으로 확인되는 것 같다.

참고자료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66222481/phpmyadmin-coreextension-php1608array-key-exists-using-array-key-exists-on

https://github.com/phpmyadmin/phpmyadmin/issues/17270

한국 언론의 생명 윤리 논쟁에 대한 갈무리

“일반 시민들은 언론을 통해 생명윤리 문제와 관련된 정보를 얻고 있지만, 언론은 생명복제에 대해 국내외 연구진들의 결과를 다른 시각으로 보도하는 등 객관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자는 생명복제 논쟁에서 한 논쟁 주체이자 논쟁의 장인 ‘언론’에 대해서도 흥미있는 분석 결과를 내놨다. 논문에 따르면, 국내 언론은 복제양 돌리의 탄생에 대해 복제기술에 대한 설명과 함께 생명복제에 따른 윤리적인 문제에도 관심을 보였다. 그러나 생명공학기술이 한국에서 이루어졌을 때는 기술개발 내용에 대해서는 비교적 자세히 다루면서도 윤리적인 논란을 다루는 비중은 돌리 때와 비교할 때 훨씬 낮았다.”

미디어오늘 보도 : 생명윤리 논쟁, 언론의 역할은?

이은정 경향신문 과학전문기자 서울대 박사논문 생명복제를 둘러싼 국내의 생명윤리논쟁에 관한 연구 = Bioethical disputes about human cloning in Korea

“취재보도의 과정에서 주관이 개입된다는 것은 경험의 영역을 의미한다. 경험이라는 것은 오감의 작용으로서 대체로 진실은 그곳에 없다. 감각기관의 작용은 감성적이고 변화무쌍하다. 이 과정에서는 사실, 관점, 다양성 등이 중요하다. 진실은 그 다음 과정으로서 이성이 작동하는 객관의 영역으로 이동해야 한다. 사실이나 관점, 다양성이 중요한 것은 진실에 도달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인 요인들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목적이 될 수는 없다.”

경기신문 : 언론의 ‘객관 보도’는 불가능한가?

참고자료
객관보도란 함정 : 기자협회 http://journalist.or.kr/m/m_article.html?no=49276

한국언론 오도독 언론의 객관, 이카로스의 꿈 : KBS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141466

관련 사례 정리

‘생활고’ 일가족 3명 안타까운 자살 : http://www.viewsnnews.com/article?q=115445
수원 공시생 실종 숨진 채 발견 누리꾼들 도대체 무슨 사연으로 http://www.hkb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0958

사건 사고 관련 기사 갈무리

세월호 단원고 학생 325명 전원 구조 (오보로 판명)
라면 우지 파동 사건 보도(10년 이후 사실상 우지가 인체에 해롭지 않다고 결론)

오늘의 과정은 내일 하면 된다.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감정이 들을 때 ‘내가 할 수 있는 것’부터 찬찬히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이 정신 없던 나의 상황을 조금이나마 정리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풀리지 않았던 문제의 증명을 쉽게 해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아무리 노력하더라도 안될 때는 정말 ‘더럽게 운이 없는 사람’이라고 자칭할 정도로 삶을 비관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많은 사람들은 여기서 아등바등 더 노력하지만, 사실 풀리지 않는 문제를 만났을 때는 ‘강물이 흘러가는대로 냅두는 것’도 지성인의 덕이라고 할 것입니다.

영상=박강우tv

가수 전인원 씨의 밴드 음악 <걱정 말아요 그대>는 응답하라 1988 이적의 <걱정 말아요 그대>로 재발굴되었지만, 노래 가사에서 “그대 아픈 기억들 모두 그대여, 그대 가슴에 깊이 묻어 버리고”라는 가사 다음으로 “지나간 것은 지나간 대로, 그런 의미가 있죠”라는 가사가 나온다. 이 가사의 글귀처럼 자신의 능력 밖의 일에 너무 매여 있거나 어려운 수학 문제에 시간을 소비하는 사람은 어리석은 사람이라고 할 것입니다.

그래봤자 바둑,
그래도 바둑

일본 바둑계를 평정한 한국 바둑계에 까지 전설로 기록된 재일교포 조치훈 프로가 한 말로서, 웹툰 ‘미생’에서 인용되고, 이를 원작으로 한 드라마 ‘미생’에서 장그래의 대사로 재조명된 명언이다.

너무나 처절하게 바둑을 두르는 그에게, ‘한 사내가 왜 치열하게 바둑을 두십니까, 그저 바둑일 뿐인데’라고 질문을 하자, 그는 사내의 물음에, ‘그래도 바둑이니까, 내 바둑이니까’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러한 말을, 웹툰과 드라마에서는 ‘내일이니까, 내게 허락된 세상이니까…’로 재해석하였다.

오늘 풀리지 않은 증명은,
내일하면 된다.

삶이라는 것이 행복한 순간보다 너무나 버티기 힘든 나날의 연속일 때가 많다. 하지만 태어난 이상 버텨내야만 하고 끝이 보이지 않는 마라톤 경기장에서 인생의 달리기에서 낙오된다면, 이전보다 더 넓고 더 긴 경주장이 내 앞에 닥쳐올 것이다.

나 자신을 남에게 투영해 보는 순간,

‘나’를 ‘남’에게 투영해 비교하는 순간, 내 인생은 고달파지는 것 같다. 필자의 경우 남과 비교되는 경우 원래부터 잘난 사람이였거나, 현재 잘 나가고 있는 사람인 경우가 많았다.(전자의 경우는 없었고 후자가 많았다.) 근데 사실 여기에 모순이 있는 것이 저들의 위치와 내 위치가 다르고, 하는 일이 다름에도, 저들과 내가 이 땅에 함께 살아가는 존재라는 이유 하나로, 저들의 존재 때문에 스스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것이다.

전제를 제대로 설정하였나?

예컨대, 100미터 9초 대로 뛰는 A 마라토너가 있다고 하자, 그런데 A마라토너가 100미터 9초 대로 뛰는 것을 놓고, ‘나는 왜 A마라토너처럼 달리지 못할까?’라고 스스로 비관하는가? 물론 평범한 사람이라면 그런 비교 자체를 하지 않을 것이지만, 사실 A마라토너와 ‘나’라는 것을 동일 선상에 놓고 비교하는 건 비교 대상 자체가 될 수가 없다. 왜냐하면, A마라토너는, 자신이 100미터 9초 대로 뛰기 위해서, 무수히 많은 노력을 했다는 전제가 있었기에 그것이 가능했다. 그가 이렇게 달리기 위해서 엄격한 식단관리와 체력 관리 무엇보다 100미터 9초라는 확연한 목표를 가지고 그만한 시간을 들였기 때문이지만, 반면, 필자는 A마라토너와의 조건으로 노력을 하지 않았기 떄문에, 애초에 비교 자체가 할 수 없는 조건을 가지고 있다.

각자 사람이 태어나 살아온 환경이 다르며, 개인의 특성이 다르고 생각하는 것도 다른데, 어찌 그들이 살아가는 것과 나를 동일선상에 놓고, 박탈감을 느껴야 한다니. 이러한 사실을 종합해 보면, 너무 인생이 비굴하고 초라해지지 않는가?

잠시 식물이 자라는 속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본다면, A식물과 B식물, C식물이 세가지 식물 모두 같은 품종이라는 전제를 놓고 생각해 보자. 세가지 식물 모두 같은 하우스 안에서 일정한 온도와 비료, 물을 각각 똑같이 매일 주고, 자라는 속도를 지켜 본다고 하자. 그리고 약 100일이 지났다. 식물 A와 B,C는 어떻게 되었을까?

정답은 ‘다르다’

왜냐하면, 품종이 모두 동일한 식물 A와 B, C에게 모두 같은 하우스라는 환경에서 동일한 온도와 비료, 물을 주며 키워도, 자라는 속도는 다를 수 밖에 없는 것이 각 식물들이 처음부터 가진 고유의 특성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어떤 식물은 위의 사례처럼 동일한 조건으로 키워 새끼를 치고 정원을 이룰 수 있는 반면, 어떤 식물은 잘 키운다고 하더라도 금방 죽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사람들도 식물과 마찬가지다. 각자가 가진 특성이나 성장하는 속도에는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또, 마라톤처럼 ‘격차’가 벌어짐을 찾을 수 없다. 설령 개개인의 격차를 발견하였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그 사람과 사람간의 진정한 격차인가는 두고 보아야 할 문제이다.

물론 조바심에 비교가 될 수 있다. 또한 주변의 영향(부모, 친인척)도 클 수가 있다.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 가지, 그러한 급류에 너무 휩쓸리지 말아야 한다. 상류에서는 모든 물이 눈 깜짝할 사이 중류로 내려간다. 이 과정은 모두가 힘들지만, 잘 버텨 내야만 한다. 상류와 중류를 버텨낸다면 하류는 전 과정에 비하면 비교적 순탄하다. 여기서는 나의 속도 만큼 앞으로 나아갈 원동력이 있을 것이다. [참고글: 각자의 정원의 속도]

끊임 없이 도전하고, 실패를 두려워 하지 않는 이에게 기회가 있다.

잠시 현실로 돌아와서, 미국 실리콘밸리가 대단한 것이 무엇인지 아는 사람이 있는가? 흔히 미국 실리콘밸리에서는 ‘연속 창업가’가 많다는 점이다. 여기서 ‘연속 창업가’란, 성공한 CEO가 아니다. 무수히 실패를 겪은 창업가도 연속 창업가이다.

그들에게 ‘실패’는 ‘언제 갚아나가야 할 빚’이거나 ‘악재 Risk’가 아니다. ‘실패’는 ‘삶의 자산’이다. 좋은 시제품, 아이디어 그리고 ‘스토리’가 있다면, 언제든 다시 시작해도 오뚜기 같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 실리콘밸리 힘은 연속 창업자 – 사이언스타임즈]

한국에서 블로그 후원이 가능한 것일까?

포스트와 관련된 게시글입니다.

2020-09-08 워드프레스로 기부 받기

몇 년 전부터 필자가 운영하는 언론사의 한 켠에 “후원하기” 코너를 운영하고 있는데, 사실상 장식에 가까운 존재가 되어간지 오래다. 후원이라는 개념을 터득한지는 꽤 오래되었지만, 실무에 써먹기 시작한 건, 워드프레스 정보 꾸러미라는 블로그 주인 분의 영향이 크다. 필자의 언론사는, 이 분 블로그의 사이드의 후원 코너를 보고, 벤치마킹한거다.

사실 필자는 ‘블로그 저널리즘’을 지향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블로그 저널리즘”은 보통 시민기자 보다는 프로페셔널 저널리즘 간 공생을 지향하는 저널리즘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물론 이것도 보기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필자의 언론사는 프로페셔널 저널리즘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과거 언론사의 수익 구조는 인쇄 광고 아니면 종이 신문 구독료였다. 그러나 최근 5년 간 종이 신문 구독자가 급감하면서(2021 한국 언론 수용자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조사), 수익 구조 재편이 필요해졌다. 최근 변화를 살펴보면, 중앙일보의 경우는, 홈페이지 자체를 갈아 치웠다(심지어 도메인까지 바꾸며 기존 기사 연결을 과감히 포기했다). 국내 1위인 조선일보의 경우에는, 일정 조회 횟수가 도달하면, 자동으로 회원으로 가입되는 납치 태그가 적용됐다.

유튜브의 사례도 살피면, 일정 구독자와 조회수가 되면, 멤버쉽과 후원이라는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채널 주인이 미리 지정한 금액을 구독자가 신용카드 등으로 후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실례는 본격적으로 취재를 해봐야 알겠지만, 효과가 있는가는 잘 모르겠다. (필자가 본 것만으로는 유튜브 채널에 후원한 구독자들의 아이콘을 많이 보지 못해서 사용자는 미비한 것 같기도 하다.)

사실 인터넷 콘텐츠의 후원은 ‘스토리’가 필수불가결이다. 내가 어떤 과정으로 이 콘텐츠를 만들었느냐를 독자에게 잘 설명해야 써먹히는 방식이다. 블로그나 유튜브를 제외한 국내 매체 중에 후원 시스템이 잘 이루어지는 대표적인 매체는 “뉴스타파“와 “오마이뉴스“가 아닌가 싶다. 오마이뉴스는 아예 후원자들을 위한 “10만인클럽“을 운영하고 있다.

그 외에 극우 보수 언론(이름도 언급하기 민망한 매체들)들이 극성 수구 세력으로부터 후원을 받기도 하는 것 같다.

이러한 사실을 종합해 보면, 이들의 공통점은, 당연 “스토리”에 있다. 내가 어떤 정치 성향을 가지고 있는지, 해당 매체는 어떤 특성을 가지느냐(대안언론이나 방송매체냐에 따라서 다르다)와 후원자의 숫자가 비례한 것 같았다.

해외에서는 이미 신용카드를 사용한 블로거 후원이 활성화 되었다지만(Strip가 그 예), 한국은 이제 도입되기 시작한 초기라, 갈 길이 멀지만, 곧 블로거 후원이 자연스러워 질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이미 웹툰이나 웹소설을 돈 주고 봐야 한다는 인식이 생기고 있기 때문도 있다.

우선, 결제 정책 시스템 등의 변화가 필요해 보인다. 필자가 경험한 바에 의하면 디지털 콘텐츠의 카드 결제는 일정 한도 제한이 있거나 카드사 계약 자체가 불가한 곳들도 많았다. 일종의 꼼수를 이용해 PG사와 계약하기도 했지만, 초기 계약 조건과 달랐기 때문에 실무에 적용하기 모호한 경우가 많았다.

또한 저널리즘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한 상황이다. 국내 언론에 대한 한국인들의 언론 신뢰도는 최하를 달리고 있다.(OECD 평균으로 잡아도 이하인 상황이다.) 이런 경우 독자들은 후원은 고사하고 기사 자체를 읽어주지 않을지도 모른다. 우리 언론인들이 기사의 질에 좀 많은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기자의 덕목과 관련된 기사 스크랩

미디어오늘 – 리영희 교수가 밝힌 ‘기자의 4가지 덕목’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68396

중앙일보 – 기자는 읽는대로의 존재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5310291#home
윗글과 관련된 글: https://brunch.co.kr/@fredfred/1

한국에서 Stripe 가입하기

스트라이프의 한국 진출 소식이 있지만 아직 정식 오픈 상태는 아닙니다. 무소식이 희소식이라는 말이 있듯이 기다리다 보면 되겠지요.

하지만 스트라이프의 미지원 국가인 한국에서도 스트라이프 계정을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가입할 때 국가를 호주로 설정합니다. 호주는 영국이나 다른 영연방 국가와 달리 당국이 발급한 사회보장번호를 요구하지 않습니다.(물론 이 경우는 개인으로 가입한 경우입니다.)

2. 페이오니아에서 호주 계좌를 개설합니다.(그런데 어찌된 영문인지 저같은 경우는 가입 후 한참 시간이 흐르고 호주 계좌 개설 신청이 가능했습니다.)

3. 전화번호는 KR +82 가능합니다.

여기서 팁.

한참 헤매고 난 후 알게 된 것인데 계정 개설 이후에도 신분 증명이라는 걸 해야 합니다. 국내의 스트라이프 계정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 올린 리뷰에는 없는 내용이지만, 모국의 신분증으로 인증해도 무방합니다. 만약 스트라이프가 한국 서비스를 시작할 때 우리는 국가를 한국으로 변경하면 될 것 같습니다.

스카이프에서 호주 전화번호를 구매하라는 말은,
2022년 기준 불가능합니다. 시도 자체를 하지 마세요. 시간낭비입니다.

워드프레스 wp-load.php 50라인 오류

필자는 요새 잦은 해킹 공격과 오류 발생으로 고통 받고 있는 지극히 평범한 회사 사이트 관리자이다.

보안상 전체 오류 로그를 보일 수는 없고 일부만 가져오자면…

Fatal error: require_once(): Failed opening required

failed to open stream: permission denied in…. 중략…. wp-load.php 50 line

wp-config.php 파일의 위치를 알 수 없어서 생기는 오류이다.

이 경우 보통은 파일 퍼미션 문제로 서버에 접속해 퍼미션을 변경해 주면 된다.

chmod 707 wp-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