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ertbot 설치
먼저 Certbot을 설치합니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certbot
2. 인증서 생성
2.1 생성 명령어 입력
sudo certbot certonly –manual –preferred-challenges dns -d “*.mydomain.com” -d “mydomain.com”
*mydomain.com만 주게 되면 domain으로 접속 시 SSL 인증서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d 옵션을 한번 더 줘서 지정해줍니다.
3. DNS TXT 레코드 타입 설정
3.1 첫번째 TXT값 입력
발급받은 인증서를 통해 SSL을 적용하고자 하는 도메인의 실소유자인지 인증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발급한 값을,
_acme-challenge를 서브 도메인으로 TXT레코드 타입으로해서 생성한 값을 집어넣습니다.
DNS 설정 적용 버튼을 누른다고 바로 적용되지 않습니다. 한 1~2분 뒤쯤 시간이 지나고, enter를 눌러 다음으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TXT 레코드는 네임 서버 변경과 다르게, 전 세계에 전파되는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3.2 두번째 TXT값 입력
3.1을 진행하면, 또 값을 발급해달라고 요구합니다.

TXT 레코드 설정 시 별도의 줄에 여러 값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Let’s encrypt 측은 TXT 레코드를 추가 후 삭제하지 말라고 하는데, 이미 소유자 인증을 마친 경우 추후 삭제해도 무방합니다.
4. 발급받은 파일 조합

이 화면이 뜬다면 정상적으로 SSL 인증서가 생성된 것입니다.
발급받은 SSL 인증서 경로는 /etc/letsencrypt/live로 디렉토리를 이동하시면, 실제 파일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이제 해당 경로의 인증서와 웹서버를 연결해줍니다.
답글 남기기